![](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a2GP/btq6vTtTxSh/nkJCNMmkiIb4Gqlb6mt54k/img.png)
앞에 개인적인 이야기 많아서, Maven Profile 설정한 부분은 아래에 있습니다. 필요한 부분만 보세요 ! 경험 Spring을 올해 처음 학습하기 시작했는데, 그러다보니 빌드 도구에 있어 Gradle에만 익숙하고 Maven은 사용해본 적이 없었다. - 사실 여러 이야기를 들었을 때 Gradle이 더 관리하기 좋다고들 해서, Maven은 과거의 유물... 같은 느낌으로 보고 있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도 gradle로만 빌드하고 있었는데, Spring cloud function, Spring native 같은 최근 나온 기술들에 대한 문서들을 읽으니 빌드 구성에 있어 Maven을 더 활용하기도 하고, 해당 기술들을 다룰 땐 Maven이 더 적합하다는 말도 있었다. 나는 "그래도 gradle로 가보자"라..
Docker와 AWS 계정이 요구되므로, 미리 설치 및 가입하신 후에 아래 과정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AWS ECR 생성 2. AWS CLI 설치 AWS CLI 버전 2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 -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여기서 OS에 알맞은 방법으로 설치합니다. 3. AWS IAM User 생성 사용자가 있다면 사용하고, 없다면 추가합시다. 이름과 액세스 유형을 설정합니다. 권한을 설정해야하는데, 이미 설정된 사용자의 권한을 가져오거나 수동으로 기존정책에서 가져와 연결하시면 됩니다. - 저는 Ad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eS88/btq5towG8tO/unLmrREv2XpQlX3hXZJpiK/img.png)
써놓고 나니 광고 같은데, 내 블로그에 오는 사람이 거의 없을 뿐더러, 그냥 내 생각을 적은 것 뿐이다 🤔 나는 개발자이면서도 기록하는 것을 중요시여겨 여러 서비스를 활용하곤 한다. 많이들 사용하는 Notion은 물론이고, Sublime text로 회의록을 작성하기도 하고, VSCode로 MD를 작성하기도 하고, Slack 개인 DM에 메모를 남기기도 하고, Github에 하루하루 다이어리를 작성하기도 했었다. (물론, 이 블로그도 그 중 하나다) 근데 이렇게 많은 여러 기록 서비스/SW를 사용하다보면 한 가지 단점이 있었다. 유용한 웹 사이트들을 기록해놓을 때, 어떤 내용을 가진 웹 사이트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예를 들어보자. Kubernetes의 Pod의 Lifecycle을 다루는 웹 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fcIk/btq4jPgFUQf/ffUtUAMWkix6Wk438BkZAk/img.png)
Telemetry [Monitoring + Logging + Tracing] Monitoring, Logging을 포함해 Alerting 기능과 각 서비스 간 Tracing이 가능한 도구 분산환경인 MSA 구조에서는 이슈 발생 시, 쉽게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쉽게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별 발생 가능한 이슈, 원인을 모아 Tracing을 지원 보통 Logging stack과 비슷한 개념으로 불리기도 한다. (Tracing을 제외하고) (개인적인 생각) Logging이라 하면 2가지의 성질로 나눌 수 있다. - Log: Application의 로그 (서버 구동관련, 비즈니스 로직, 에러 등) - Metric: Server resources (CPU 상태, 메모리 상태 등의 리소스 상황) 이런 Loggin..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Q6PE/btraPtrsqML/phyTCdy0KgV4tNzwWO2O20/img.png)
Web Reactive Stack 공식문서의 WebClient 부분을 읽고 해석하며 작성했습니다. Web on Reactive Stack The original web framework included in the Spring Framework, Spring Web MVC, was purpose-built for the Servlet API and Servlet containers. The reactive-stack web framework, Spring WebFlux, was added later in version 5.0. It is fully non-blocking, supports docs.spring.io Markdown으로 작성 후에 블로그로 옮기게 되었는데, 깨지는 부분이 존재하네요 😢 만약..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GpFN/btq2s40R3xZ/kjpKrh0kkKH38jdExmkm30/img.png)
최근 Java를 사용하면서 IDE로 거의 Intellij IDEA만 사용하고 있다. Java, kotlin을 사용한다면 Intellij IDEA는 정말 사용해야만 하는 IDE 일 것 같다. 정말 정말 편하고, 아무튼 정말 좋다. 근데 회사 맥북은 괜찮은데 개인 맥북의 환경이 좀 맛이 가기 시작했다. 제대로 파일을 못 읽을 때도 있고, 여러 스킨 플러그인도 적용했더니 제대로 코드가 출력이 안될 때도 있다. 뭔가 환경끼리 충돌이 나서 그런가... 아무튼 그래서 초기화를 하고 싶어서 찾아봤는데, 매우 쉽다. 재설치 및 삭제가 필요 없고, 일단 IDEA를 실행시키자. 그리고 아래 그림의 메뉴를 실행시키면 된다. Menu: File > Manage IDE Settings > Restore default setti..
Code: https://github.com/KimDoubleB/spring-learning/tree/master/http 개발을 하다보면, 직접 HTTP 요청을 수행해보며 테스트 해보고 싶을 때까 있다. 직접 테스트 코드를 짜는 것이 중요하고 좋지만, 시간 및 상황의 제약으로 인해 말이다. 이럴 땐, 보통 Postman을 사용한다. 워낙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사용되어 왔고, 유명하기도 하고, Collection 형태로 프로젝트 별로 요청들을 관리하기도 편하다. 근데 Intellij를 사용하다보면, 간단한 테스트 요청임에도 Postman을 키고 요청들을 구성해야하기 귀찮을 때가 있다. 그리고 요청을 많이 진행해야할 때는 프로그램 간 계속 왔다갔다 해야되서 더 귀찮아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엔 Intellij..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동기
- jasync
- Algorithm
- 일상
- container
- Clean Architecture
- 쿠버네티스
- docker
- boj
- gradle
- Spring boot
- Istio
- Log
- 알고리즘
- Intellij
- 클린 아키텍처
- 백준
- python
- k8s
- HTTP
- MySQL
- tag
- 하루
- OpenTelemetry
- c++
- java
- 로그
- WebFlux
- Kubernetes
- Spr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