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m 차트 생성 helm create template, test, values.yaml, Chart.yaml, README.md 등 파일들이 chart-name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helm 차트에 대한 조회 helm show 해당 차트에 대한 리소스를 조회할 수 있다. 근데, 사실 직접 파일 찾아서 cat으로 조회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어서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cat 과의 차이라면 cat은 주석을 포함해 보여주지만, show를 사용하면 주석은 포함되지 않고 보여준다고 함. helm template에 values 넣어서 출력해보기 helm template helm chart 설치 전에 values가 들어간 상태로 결과를 출력해보고 싶을 때 사용한다. 설치 전, values가 제대로 들어가는..
Helm 설치 # mac: helm 키워드 자동완성 기능 source "${fpath[1]}/_helm" # helm version 확인 helm version # kubernetes config 확인 >> kubectl 사용 cd ~/.kube/ helm repository 설치 Artifact Hub Find, install and publish Kubernetes packages artifacthub.io # repo 등록 helm repo add # helm repo add bitnami https://charts.bitnami.com/bitnami # repo 조회 helm repo list # chart 찾기 helm search repo # repo에 등록된 모든 chart 출력 helm s..
Java엔 정말 다양한 Http Client가 있다. 주로 URLConnection, Apache HttpClient, RestTemplate, Feign를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Proxy를 설정하는 법 또는 System property를 사용해 Proxy를 설정하는 법이 있다. 이런 Proxy 설정에 관하여 회사에서 위키로 작성해 전체 개발 팀에 공유를 했었는데, 좋게 봐주셔서 어쩌다보니 회사 기술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관련하여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아래 블로그 내용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Java proxy setting guide | 11번가 TechBlog — 11번가 기술블로그 안녕하세요. 11번가 Platform Engineering 팀의 서버 개발자 김보배..
쿠버네티스에서 파드를 만들었다하자. 해당 파드에서는 특정 컨테이너가 stdout을 통해 logging을 한다. 그럼 보통 해당 파드의 로그를 확인하고 싶을 때,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kubectl logs 좀 더 상세히 보자면, Spring boot container 였다면 아래와 같이 나왔을 것이다. $ kubectl logs Calculating JVM memory based on 14121456K available memory Calculated JVM Memory Configuration: -XX:MaxDirectMemorySize=10M -Xmx13524609K -XX:MaxMetaspaceSize=84846K -XX:ReservedCodeCacheSize=240M -Xss1M (Total..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VFGs/btrdVjyYH5w/OjsqjULPIJ3pob6CSixrM1/img.png)
Docker container log는 stdout, stderr output streams로 Log를 찍는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log는 Docker host에 JSON file로 저장되게 된다. Default logging driver로 json-file logging driver를 사용하기 때문. Docker log의 저장 위치에 대해 찾아본다면, 아래의 주소에 저장된다고 나온다. /var/lib/docker/containers//-json.log 하지만 더 자세히 실행 중인 특정 컨테이너의 log 위치를 알고 싶다면, docker inspec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docker inspect --format "{{.LogPath}}" 만약 container_id가 950925 라면, 위 com..
이전의 완전 초기 스타트업에서 Node.js/Express를 사용할 때, pm2를 통해 서버 관리를 한적이 있었다. pm2를 키면 access log를 바로 찍어줘서 request의 어느 부분에서 어떻게 오류가 나고 있고, 났었는지 확인하기가 편했다. Spring boot를 사용해 개발을 시작한 후, access log를 잊고 있다가 'application log 말고 access log는 어떻게 보지?' 라는 생각이 들자 찾아보게되었다. Spring boot를 사용하면 내부에 embedded tomcat이 있기에 따로 WAS를 띄울 필요가 없다. 이 tomcat에 대한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ccess.l..
전자기기를 좋아해서 중고나라 시절부터 사고 팔며 여러 전자기기들을 사용해왔다. 근데 기록을 안해놓다보니 어떤걸 사용해봤고, 좋았는지 안좋았는지를 까먹게 된다 🥲 그래서 기록해놓고자 '사용해본 전자기기' 목록을 작성하고자 한다. - 순서는 기억나는 대로 작성했다. 핸드폰 - [애플] IPhone 3gs - [삼성] Galaxy S II HD LTE - [HTC] Desire HD - [LG] G5 - [팬택] Vega Secret Note - [삼성] Galaxy Note 5 - [삼성] Galaxy Note 8 - [샤오미] Redmi Note 8 - [OnePlus] OnePlus 6T - [애플] IPhone SE2 - [삼성] Galaxy S21+ - [애플] IPhone 13 Pro 태블릿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2tIV/btrcb80hBZh/gfe1Oy6anfbQcVykUlbZ40/img.png)
Cookie Cookie는 HTTP의 속성 중 Connectionless, Stateless 를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Cookie를 사용함으로써 서버에선 받은 HTTP 요청이 어떠한 정보를 가진 요청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HTTP 통신 간에 유지하려는 정보가 있는 경우 사용된다. Cookie는 클라이언트 브라우저(Local)에 저장되는 Key-Value 형태의 데이터이다. 서버 측에서 발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내 줌으로써 활용한다. 발급할 때, key-value 말고도 유효한 시간을 정의하여 만료되는 시간을 정할 수도 있다. 또한, path 및 domain 등을 설정하여 특정 주소에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유효한 시간까지는 브라우저가 종료되더라도 Cookie의 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boj
- Algorithm
- docker
- HTTP
- jasync
- Spring boot
- java
- 클린 아키텍처
- k8s
- 하루
- 백준
- MySQL
- WebFlux
- 알고리즘
- 로그
- Kubernetes
- tag
- 비동기
- Log
- Istio
- c++
- gradle
- python
- 쿠버네티스
- container
- 일상
- Clean Architecture
- Spring
- Intellij
- OpenTelemetr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