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doc 오류가 발생 ! Open source에 특정 기능을 구현하고 있었습니다. 특정 기능을 구현하고, 메서드 설명(javadoc)에 아래 예시처럼 작성을 완료하였습니다. /** * ~ * ~ * ~ when maxQueueSize > 0 * ~ * ~ */ public void specificMethod(int maxQueueSize) { ... } 기능 테스트 상 이상은 없었으나 build시 제목과 같은 `error: bad use of '>'` javadoc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javadoc은 사실 많이 작성해보지 않은 터라, 이런 에러에 대해서도 당황했고, "'>' 문자가 잘못된 사용이라는 건가?", "왜?"라는 의문이 먼저 들었습니다. 그러다보니 '>' 사용 에러가 아닌 다른 오류겠지 ..
RabbitMQ, Kafka를 들어보기도 하고, 사내에서 사용하기도 하다보니 찾아보며 공부하는 것이 좋겠다 싶어 이렇게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뭐, 대충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는 알고 있었지만, 제일 중요한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대답하지 못하는 것 같아 찾아보며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RabbitMQ, Kafka 등 이러한 메세징 SW들을 찾다보니 이들을 이루는 구조, 이론 등이 있었고, 이를 먼저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3가지 단어가 자주 등장을 하는데요, 이걸 먼저 조금씩 알고 넘어갑시다. MOM (Message Oriented Middleware): 메시지 미들웨어의 이론, 개념, 설계도를 의미 Message Queue: 메시지 큐에 대해선 어떻게 보냐에 따라 의견이 나뉘는 것 같습니다. 단..
Destination Rule Configuration affecting load balancing, outlier detection, etc. istio.io apiVersion: networking.istio.io/v1alpha3 kind: DestinationRule metadata: name: DestinationRule-example spec: host: svc-apply-example trafficPolicy: loadBalancer: simple: ROUND_ROBIN outlierDetection: consecutive5xxErrors: 5 consecutiveGatewayErrors: 0 interval: 10s baseEjectionTime: 30s maxEjectionPercent: ..
EC2 등 가상 서버에서 Port forwarding 할 필요가 있을 때가 있다. 대체로 80포트를 8080포트로 포워딩할 때가 많은데, 아래처럼 하면 된다. - iptables 값을 수정하는 작업인데, 80포트로 접속한 Request를 8080포트로 리다이렉트 시키도록 수정한다. iptables -A PREROUTING -t nat -i eth0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 8080 만약 권한 문제로 불가능할 경우, `sudo`를 붙여 진행해보자.
api groups는 api resource들을 묶어놓은 group을 의미합니다. api resources는 또 무엇이냐구요? pods, services, jobs 등 kubernetes에서 사용하는 resources를 의미합니다. kubernetes의 기본을 배우면서 api groups를 사용한 적이 있을까요? 위 질문이 떠올랐다면, 아마 api groups의 의미를 모르시고 사용하셨을 겁니다. 보통 kubernetes resource yaml에서 맨 첫 번째 들어가는 apiVersion 에 명시가 되거든요. apiVersion: apps/v1 kind: ReplicaSet metadata: name: replica-pvc spec: ... 위 예시 yaml에서 apiVersion에 명시된 apps가 ..
kubectl api-resources -o wide 위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api resources 뿐 아니라 api resource의 약어가 무엇인지, api resource가 namespace 기반 resource인지, 사용할 수 있는 verb(권한)은 무엇이 있는지 등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nikube 를 통해 cluster를 구성하고 위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ME SHORTNAMES APIGROUP NAMESPACED KIND VERBS bindings true Binding [create] componentstatuses cs false ComponentStatus [get list] configmaps cm true..
Istio에서 지원 및 제공하는 kubernetes API resources는 다음과 같다. NAME SHORTNAMES APIGROUP NAMESPACED KIND VERBS istiooperators iop,io install.istio.io true IstioOperator [delete deletecollection get list patch create update watch] destinationrules dr networking.istio.io true DestinationRule [delete deletecollection get list patch create update watch] envoyfilters networking.istio.io true EnvoyFilter [delete ..
-Xms -Xmx 는 무엇일까? Java vm 옵션이다. -Xms 는 Java 힙의 최초 크기를 지정하는 것 -Xmx 는 Java 힙의 최대 크기를 지정하는 것 즉, Java heap 메모리는 -Xms 로 지정한 메모리 크기로 시작하여 -Xmx 로 지정한 메모리 크키까지 커지게 된다. 예시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java -Xms2048m -Xmx2048m -jar some-jar-file.jar Xms, Xmx는 왜 같은 값으로 지정하는 것일까? 상용 서비스 서버 빌드배포(CI/CD) 스크립트를 보다보면 -Xms, -Xmx 옵션에 같은 값이 적혀져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다. 단순히 생각하면 같은 값을 준다는 것은 그냥 처음부터 최대크기의 heap 메모리를 사용하겠다 라는 것인데... 왜..
- Total
- Today
- Yesterday
- MySQL
- c++
- container
- Log
- 쿠버네티스
- WebFlux
- gradle
- 알고리즘
- 비동기
- OpenTelemetry
- Istio
- tag
- 클린 아키텍처
- java
- Kubernetes
- jasync
- Clean Architecture
- Spring
- Algorithm
- 하루
- HTTP
- Spring boot
- 백준
- boj
- k8s
- 일상
- 로그
- Intellij
- python
- dock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