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lium을 공부하며 eBPF를 알게 되었다. Cilium의 근간이 되므로, Cilium을 학습하기 이전에 간단하게나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https://ebpf.io/what-is-ebpf/ https://www.brendangregg.com/blog/2019-01-01/learn-ebpf-tracing.html https://ebpf.io/what-is-ebpf/ eBPF가 뭐야?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란 운영체제 커널과 같은 권한이 있는 컨텍스트에서 샌드박스가 적용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 프로그램을 변경/추가할 때마다 커널 소스코드를 변경하거나 커널 모듈을 새롭게 빌드/로드 할 필요가 없다. 왜 eB..
Flame Graph ? show the CPU time spent in Java methods, system libraries, and the kernel, all in one visualization. 해석하기 각 사각형은 stack frame을 나타낸다(즉, 함수). 사각형의 가로(width)는 현재 프로파일에 얼마나 존재하는지(실행되는지)를 나타낸다. Graph x축 왼쪽과 오른쪽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stack은 단순히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된 것이다. y축 stack depth. 함수들간의 호출 depth. Stack의 색상들은 code type에 따라 설정된다. 보통 Java code는 초록색, C++ code는 노란색, System은 빨간색으로 설정된다. 하지만 다른 color scheme..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상
- docker
- Intellij
- OpenTelemetry
- Kubernetes
- python
- gradle
- 쿠버네티스
- jasync
- Istio
- Spring boot
- 알고리즘
- Log
- Clean Architecture
- 하루
- MySQL
- 백준
- Algorithm
- 클린 아키텍처
- container
- c++
- tag
- 로그
- 비동기
- WebFlux
- Spring
- k8s
- java
- HTTP
- boj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