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 Kubernetes - bash로 접속하기
개발하다보면 구동 중인 Docker 내로 접속해 내부 파일들을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 Kubernetes에서도 마찬가지로 Pod 내부로 들어가야 할 때가 있다. 이때 bash를 실행시켜 접속하면 된다. Docker의 경우, docker exec -it container_id /bin/bash Kubernetes의 경우, kubectl exec -it pod_name /bin/bash '-it'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i: STDIN 표준 입출력을 사용하겠다. - t: STDIN에서 pseudo-TTY를 사용하겠다.
Development/Docker & Kubernetes (K8s)
2021. 8. 9. 14:15

이번 글은 기본이 부족해 삽질한 경험이 바탕이 되는 글입니다. 🥲 docker-compose에서 multiple commands를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docker-compose 에서 multiple commands 가 왜 필요해 ? 아래와 같은 docker-compose 파일을 작성해 개발 중이었습니다. version: "3" services: some_service: container_name: some_service build: . volumes: - ~/some-data:/some-data - ~/some-info:/some-info - ~/some-script:/some-script 위 docker-compose 파일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docker registry에 등록된 이..
Development/ETC
2021. 7. 29. 21:58
반응형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Intellij
- Istio
- 하루
- WebFlux
- HTTP
- java
- c++
- 비동기
- Spring
- boj
- OpenTelemetry
- 클린 아키텍처
- Log
- 일상
- MySQL
- Spring boot
- Kubernetes
- docker
- k8s
- python
- 쿠버네티스
- Clean Architecture
- container
- gradle
- 로그
- 백준
- 알고리즘
- tag
- jasync
- Algorith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