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mgamg/btrsiHk8IZ0/aKJWLDOBX2MDD3P4d7WrC1/img.png)
정의 처리율 제한 장치 (Rate Limiter)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가 보내는 트리팩의 처리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정의된 임계치(Threshold)를 넘어서면 추가로 도달한 모든 호출은 처리가 중단 Ex) 사용자는 초당 2회 이상의 새 글을 올릴 수 없다. 같은 IP 주소로는 하루에 10개 이상의 계정을 생성할 수 없다. 처리율 제한 장치는 왜 사용하는가? DoS(Denial of Service) 공격에 의한 자원 고갈(Resource Starvation)을 방지할 수 있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처리를 제한해 서버를 많이 두지 않고, 우선순위가 높은 API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요청 당 비용이 드는 Third party API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횟수 제한을 통해 과도한..
Book
2022. 2. 1. 16:16
반응형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클린 아키텍처
- Spring
- container
- WebFlux
- 백준
- java
- Kubernetes
- 일상
- jasync
- Log
- boj
- 비동기
- OpenTelemetry
- Spring boot
- HTTP
- gradle
- python
- 알고리즘
- c++
- 하루
- tag
- docker
- Intellij
- 로그
- 쿠버네티스
- k8s
- Istio
- MySQL
- Algorithm
- Clean Architectur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